[앵커]<br />이른바 '살충제 달걀'이 나온 경기도 남양주시 농장은, 열흘 전인 지난 6일 문제의 피프로닐 성분 살충제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출하가 금지되기 전까지 여드레 동안, 최소 16만 개가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농림축산식품부는 금지된 살충제, 피프로닐이 검출된 경기도 남양주시 농장의 농장주를 상대로 사용 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해당 농장주는 농식품부 조사에서 달걀 생산량을 떨어뜨리는 진드기 등을 죽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말을 듣고 지난 6일 피프로닐 성분 살충제를 한 차례 사용했다고 진술했습니다.<br /><br />농식품부가 해당 농장에서 달걀 시료를 채취한 시점은 그로부터 사흘 뒤인 지난 9일.<br /><br />검사 결과 피프로닐 검출이 확인된 건 다시 닷새가 흐른 14일입니다.<br /><br />농식품부가 현장 조사를 나간 어제, 15일에는 전날 생산량으로 추정되는 2만4천 개가 창고에 그대로 쌓여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해당 농장은 달걀을 하루에 2만 개에서 2만5천 개까지 생산하기 때문에 6일부터 13일까지 여드레 동안 최소 살충제 달걀 16만 개가 유통됐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[경기도 남양주시 관계자 : 숫자를 최종적으로 확인해 보니까 (유통 물량이) 16만 개 정도입니다. (하루 평균) 2만천 개 정도 생산된다고 합니다.]<br /><br />특히,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장주가 피프로닐 성분 살충제를 사용한 건 지난 6일이 처음이라고 진술했지만, 전에도 썼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[허태웅 /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: 자기도 기억이 가물가물하다고 얘기하니까 조사해봐야 합니다.]<br /><br />정부는 해당 농장에서 생산된 달걀의 유통을 금지하고, 남은 물량은 회수해 폐기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피프로닐 성분 살충제를 사용한 지 이미 열흘이 지났기 때문에 상당수가 판매돼 식탁에 올랐을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YTN 고한석[hsg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81604574053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